『삼국사기(三國史記)』 열전 이사부조에 처음으로 그 이름이 등장하여 긴 세월을 거친 바람과 어떤 것으로도 막을 수 없었던 거센 파도와 싸우며 지금까지 동해의 주인으로 당당히 그 자리를 지키고 서 있는 외로운 섬의 나라 우산국(于山國).
안용복님이 일본으로 건너가 일본 관리들에게 모도(母島)인 울릉도를 대우산(大于山), 그리고 그의 자도(子島)인 독도를 소우산(小于山)이라고 설명하며 확정했던 것처럼 역사적으로나 실제적으로나 우리의 땅인 울릉도와 독도.
크루즈 선 등 좋은 교통편이 생기면서 접근은 비교적 쉬워 졌지만 그 속에 담긴 역사와 가치에 대한 조명은 상대적으로 소홀해지지 않았는지 되새겨 봅니다.
이제 우리는 우산국(울릉)의 역사와 문화예술 연구의 활성화를 통해 영토의 소중함을 깨닫고 애향심을 가지게 하며, 지역을 중심으로 한 역사와 전통문화 유산의 재개발을 통하여 한국문화의 세계화에 이바지 하고자 합니다.
이를 위해 우리는 (울릉)우산국 학술조사‧보고, 학술용역수주, 학술 세미나, 일반교육강좌 등을 개최하여 울릉도와 독도의 역사적 뿌리와 미래적 가치를 복원하고, 지역 문화예술을 연구 개발하여 많은 사람들로 하여금 다양한 지역문화예술 콘텐츠를 체험하게 하고, 지역문화 전반의 산업을 육성 발전시키며, 국민(특히 경상북도민)들의 문화적 소양을 함양시킴으로 건전하고 밝은 문화사회를 선도하고자 합니다.
강치가 노닐던 바다 우해.
강치가 우~하며 울던 바다 우해로 둘러 싸인 우산국.
이제 강치는 사라졌지만 우리들의 마음으로 부르짖는 희망의 함성이 강치를 대신하여 온 바다를 메우고 천지에 메아리쳐 울려 퍼지는 날이 오기를 바라는 염원을 담아서 재단을 설립하고자 합니다.
울릉우산국문화재단의 역할
우산국의 역사⠂문화연구
울릉도에 관한 역사, 문화적 연구를
통해 고대왕국 우산국의 고고학적 사료를
정입하고 학제적 연구를 담당합니다
우산국 문화 일반교육
울릉인의 삶, 자취, 양상, 사고 등을
연구하고 울릉 우산국 문화의 대중화와
실용화를 연구합니다
지역문화 예술의 세계화
울릉인의 삶을 연구해 울릉 우산학
문화의 세계화와 활성화를 목표로합니다
『삼국사기(三國史記)』 열전 이사부조에 처음으로 그 이름이 등장하여 긴 세월을 거친 바람과 어떤 것으로도 막을 수 없었던 거센 파도와 싸우며 지금까지 동해의 주인으로 당당히 그 자리를 지키고 서 있는 외로운 섬의 나라 우산국(于山國).
안용복님이 일본으로 건너가 일본 관리들에게 모도(母島)인 울릉도를 대우산(大于山), 그리고 그의 자도(子島)인 독도를 소우산(小于山)이라고 설명하며 확정했던 것처럼 역사적으로나 실제적으로나 우리의 땅인 울릉도와 독도.
크루즈 선 등 좋은 교통편이 생기면서 접근은 비교적 쉬워 졌지만 그 속에 담긴 역사와 가치에 대한 조명은 상대적으로 소홀해지지 않았는지 되새겨 봅니다.
이제 우리는 우산국(울릉)의 역사와 문화예술 연구의 활성화를 통해 영토의 소중함을 깨닫고 애향심을 가지게 하며, 지역을 중심으로 한 역사와 전통문화 유산의 재개발을 통하여 한국문화의 세계화에 이바지 하고자 합니다.
이를 위해 우리는 (울릉)우산국 학술조사‧보고, 학술용역수주, 학술 세미나, 일반교육강좌 등을 개최하여 울릉도와 독도의 역사적 뿌리와 미래적 가치를 복원하고, 지역 문화예술을 연구 개발하여 많은 사람들로 하여금 다양한 지역문화예술 콘텐츠를 체험하게 하고, 지역문화 전반의 산업을 육성 발전시키며, 국민(특히 경상북도민)들의 문화적 소양을 함양시킴으로 건전하고 밝은 문화사회를 선도하고자 합니다.
강치가 노닐던 바다 우해.
강치가 우~하며 울던 바다 우해로 둘러 싸인 우산국.
이제 강치는 사라졌지만 우리들의 마음으로 부르짖는 희망의 함성이 강치를 대신하여 온 바다를 메우고 천지에 메아리쳐 울려 퍼지는 날이 오기를 바라는 염원을 담아서 재단을 설립하고자 합니다.
울릉우산국문화재단의 역할
우산국의 역사⠂문화연구
우산국 문화 일반교육
지역문화 예술의 세계화
울릉도에 관한 역사, 문화적 연구를
통해 고대왕국 우산국의 고고학적 사료를
정입하고 학제적 연구를 담당합니다
울릉인의 삶, 자취, 양상, 사고 등을
연구하고 울릉 우산국 문화의 대중화와
실용화를 연구합니다
울릉인의 삶을 연구해 울릉 우산학
문화의 세계화와 활성화를 목표로합니다
Tel. 010-4848-0968 | 문의. 054-436-1418 | leevarotti@naver.com
경상북도 포항시 장량로 128번길 40(3층)
© 2022 UICF. All Rights Reserved.